4차 산업 미래에 눈여겨 볼 노동자 유형- 플랫폼 노동자
미래에 눈여겨볼 노동자의 유형이 있습니다. 바로 플랫폼 노동자입니다.
플랫폼 노동자는 온라인 중개 플랫폼을 인용해서 탄생한 공유경제 혹은 긱경제에서 중심으로 이루는 노동자입니다. ‘임시로 하는 일 혹은 경제활동’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긱경제는 1920년대 미국에서 재즈 공연을 할 때 즉석에서 섭외한 연주자가 그 순간에만 임시로 연주한 데서 유래한 것입니다. 온라인 중계 플랫폼을 통해 노동자가 그때그때 서비스 제공 공약을 맺고 일하는 경제활동 방식입니다. 전통적으로 회사에 출근해서 일하는 정규 혹은 파트 타임 노동자라는 고용 관계에서 벗어난 새로운 노동입니다.
전통적 회사 노동자는 고용의 관계나 시간을 결정하는 주도권이 회사에 있다. 하지만 플랫폼 노동자는 다릅니다. 온라인 플랫폼과 고용 관계를 맺고 노동자 자신이 스스로 고용 시간이나 형태를 결정합니다.
전통적 회사 노동자는 채용한 회사가 정해진 시간에 고정된 월급을 줍니다. 플랫폼 노동자는 (플랫폼 회사가 중개 매개를 하지만)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플랫폼 노동자에게 대가를 직접 지불합니다. 플랫폼 노동자는 몇 달 혹은 1년 단위로 계약을 맺지 않습니다. 건강 계약하에 움직일 것입니다.
플랫폼노동이나 긱경제에 대해서 혁신이나 아니면 밥그릇 싸움이냐는 논쟁도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플랫폼노동이 결국 비정규직이나 외주 형태의 고용 관계와 같다고도 말합니다.
실제로 자동차 공유 플랫폼 서비스인 우버 노동자 일부가 최저임금이나 각종 복지 등의 보장을 요구하며 전통적 법과 제도 안에서 자신들의 노동을 인정받게 해 달라고 요구하는 중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번 노동자의 대다수를 포함한 상당수의 플랫폼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노동 형태가 전통적 고용 관계와 다르다며, 이 요구를 반대하기도 합 나다.
이런 노동관계 혹은 노동 형태를 유지하고 싶은 또 다른 이유는 연금이나 세금 등에서 전통적 법의 규제와 감시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서는 플랫폼노동 방식으로 만들어진 일자리 창출 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런저런 논쟁이나 저항 혹은 비판에도 공유경제의 영역이 넓어질수록 이런 형태의 고용 관계는 커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지금은 운전, 숙박, 배달을 넘어 청소, 심부름, 각종 돌봄, 근력이나 감정의 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노동자 스스로가 자신의 노동력, 기술 지식이나 감정 혹은 자신의 소유한 것을 건당 단위로 직접 팔거나 공유하는 일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공유하거나 건당 거래로 사고파는 기술과 재능의 수준도 높아집니다. 단순 업무를 넘어 교육, 금융, 프로그래밍 등 전문적이고 숙련된 기술로 거래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거의 모든 인간의 활동, 재능, 소유물 등을 플랫폼에 올려 사고팔게 될 것입니다.
단 플랫폼 노동자의 현황을 분석해보면 선진국에서는 본업보다는 부업으로 삼는 비율이 높고, 중국 등 개발 도상국에서는 본업으로 삼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이 발표한 <새로운 프리랜서들:긱경제에서 재능 활용하기> 설문 조사가 있습니다. 분석을 살펴보면, 미국, 영국,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플랫폼노동을 본업으로 삼는 사람의 비중이 1~4%에 불과했지만, 중국, 인도, 브라질 등 개발 도상국에서는 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중국의 경우에서는 12%의 응답자가 본업으로 플랫폼노동을 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본업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부업으로 삼고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미국 10%, 독일 6%, 영국 7%였고 개발 도상국인 중에서는 33%, 인도에서는 31%였습니다. 나머지 응답자들은 본업이나 부업도 아니고 필요나 호기심에서 한두 번 혹은 간간이 플랫폼노동을 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4차 산업 이후 미래직업으로써의 플랫폼 노동자의 역할은 확대 될 것입니다. 또한 많은 사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할것입니다. 사람들은 일이라는 것에 온종이 메여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노동과 급여의 가성비를 생각하며, 다양한 일들을 통해, 돈을 벌고 소비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치 산업의 미래에 눈여겨 볼 노동자- 가상 노동자 (0) | 2020.06.13 |
---|---|
4차 산업 미래에 눈여겨 볼 노동자 유형 - 고급 프리랜서 (0) | 2020.06.13 |
미래 한국 노동 시장의 변화 (2) | 2020.06.12 |
4차 산업 "감성"적인 직업들이 몰려온다. (0) | 2020.06.11 |
4차 산업 '창조'적인 일자리가 시작 되었다. (0) | 2020.06.10 |
댓글